표준 중국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준 중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 사용되는 중국어의 표준 형태이다. '보통화'(중화인민공화국), '국어'(중화민국), '화어'(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베이징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표준 중국어는 교육, 방송, 언론 등에서 사용되며, 중국 본토에서는 80% 이상이, 타이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문법은 어순과 조사를 통해 문장 성분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어휘는 베이징 방언에서 유래되었지만, 다양한 표현과 문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화 - 쓰촨어
쓰촨어는 쓰촨성과 충칭시를 중심으로 쓰촨분지 일대에서 약 1.2억 명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파촉어에서 기원하여 이민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보통화 보급 정책 속에서도 생존하고 있다. - 관화 - 동북관화
동북 관화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만주어와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베이징어와 차이를 보이며, 권설음 부재, 낮은 음평성, 얼화 현상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중국어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국어 - 백화문
백화문은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의 영향으로 구어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된 문체이며, 후스와 천두슈 등의 문학혁명론과 루쉰의 백화문 소설 등이 정착에 기여하여 언어 민주화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표준 중국어 | |
---|---|
지도 정보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표준 중국어 |
다른 이름 | 표준 만다린 |
사용 국가 | 중국 본토 대만 싱가포르 |
모국어 화자 | 1988년부터 모국어 화자 생기기 시작 |
제1 및 제2 언어 화자 | 중국 인구의 80% 이상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중국어파 |
어군 | 중국어 |
분파 | 관화 |
세부 분파 | 베이징 관화 |
방언 | 베이징 방언 |
조상 언어 | 원시 시노티베트어 |
조상 언어 2 | 고대 중국어 |
조상 언어 3 | 후한 시대 중국어 |
조상 언어 4 | 중세 중국어 |
조상 언어 5 | 고대 관화 |
조상 언어 6 | 중세 관화 |
조상 언어 7 | 베이징 관화 |
문자 | 한자 중국 본토 점자 대만 점자 2칸 중국어 점자 |
공용 국가 | 중국 (사실상, 보통화로) 대만 (사실상, 대만어로) 싱가포르 (화어로) 국제 연합 상하이 협력 기구 |
소수 언어 사용 국가 | 말레이시아 |
관리 기관 | 중국 본토: 교육부}} 대만: 교육부 홍콩: 교육국 마카오: 교육청소년발전국 말레이시아: 교육부 및 중국어 표준화 위원회 싱가포르: 교육부 만다린 진흥 위원회 |
ISO 639-3 | goyu (국어) huyu (화어) cosc (보통화) |
수화 | 중국 수화 |
명칭 | |
보통화 | s: t: p: Pǔtōnghuà mi: myr: Pǔtūnghwà w: l: 일반적인 말 |
국어 | s: t: p: Guóyǔ mi: w: myr: Gwóyǔ l: 국어 |
화어 | s: t: p: Huáyǔ mi: w: myr: Hwáyǔ l: 중국어 |
주음부호 | ㄆㄨˇ ㄊㄨㄥ ㄏㄨㄚˋ |
통용병음 | Pǔ-tong-huà |
통용병음 2 | Guó-yǔ |
주음부호 2 | ㄍㄨㄛˊ ㄩˇ |
주음부호 3 | ㄏㄨㄚˊ ㄩˇ |
통용병음 3 | Huá-yǔ |
기타 |
2. 명칭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관화를 기초로 규정된 중국어 문어 및 구어의 문법 및 회화 체계를 말한다. 중국어 사용 지역 및 상황에 따라 표준 중국어를 가리키는 명칭에는 차이가 있다.
- '''보통화'''(普通话|푸퉁화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홍콩 및 마카오 포함)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이다.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공통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국어'''(國語|궈위중국어): 중화민국 (타이완)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보통화와 거의 동일하지만 일부 어휘 등에서 차이가 있다.
- '''화어'''(华语 / 華語|화위중국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의 화교 사회에서 주로 사용되는 명칭이다.[64] 타이완에서도 사용되기도 한다.
- '''한어'''(汉语 / 漢語|한위중국어): 표준 중국어를 포함하여 중국어 자체를 학술적으로 가리킬 때 사용되는 명칭이다.
2. 1. 영어 명칭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표준 북경어'(Standard Northern Mandarin)[5][6][7] 또는 '표준 베이징어'(Standard Beijing Mandarin)[8][9]라고 부른다. 구어체로는 간단히 '만다린'(Mandarin)[10]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 용어는 관화 방언군 전체 또는 후기 제국 시대의 공용어를 가리킬 수도 있다.[11][12][10]'만다린'(Mandarin)은 '관화(官話)'를 번역한 말로, '관리의 말'이라는 뜻이다. 이는 후기 제국 시대의 공용어를 가리켰다. '현대 표준 만다린'(Modern Standard Mandarin)이라는 용어는 이전 형태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보통화)
1955년, 중국의 전국문자개혁회의에서는 이전까지 '국어'로 불리던 베이징어 기반의 표준 중국어를 '보통화'(普通话, Pǔtōnghuà|푸퉁화중국어)로 명칭을 바꾸었다. '보통화'라는 이름은 '나라 전체에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공통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중국 전역의 의사소통을 위한 공용어를 규정하려는 목적을 나타낸다.1956년 2월 6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보통화 보급에 관한 지시'(推广普通话중국어)를 반포하여, 보통화의 기준을 以北京语音为标准音,以北方话为基础方言,以典范的现代白话文著作为语法规范|베이징어 음을 표준음으로 삼고, 북방화를 기초 방언으로 하며, 모범적인 현대 백화문 저작을 어법 규범으로 삼는다중국어라고 공식적으로 규정했다.[65][66]
1958년 1월 1일, 저우언라이는 《當前文字改革的任務|당면 문자 개혁의 임무중국어》라는 연설에서 "6억 한족 인민들의 방언을 점진적으로 통일하는 작업은 어려움이 큰 임무이며, 이를 위해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보통화 보급의 어려움과 중요성을 강조했다.[67]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교육 시스템을 통해 보통화 보급에 힘썼으며, 방언 사용이 많은 지역의 학교에서도 방언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다.
'보통화'라는 명칭을 채택한 배경에는 소수민족에게 다수민족의 언어를 강요한다는 인상을 피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이러한 고려는 1931년 구추바이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고, 1955년 중국 공산당이 '보통화'라는 용어를 공식 채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5][16] 1949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국어'라는 용어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만다팝(国语流行音乐중국어)이나 중국 영화(国语电影중국어) 같은 기존의 복합 명사에서만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중국 정부는 "国家通用语言文字|전국 공통어중국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2000년에 제정된 관련 법률에서 보통화를 '전국 공통어'로 정의한 데서 유래했다.[14] 이 법은 소수민족 언어의 사용과 보호에 관한 조항도 포함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보급 정책에 힘입어 보통화 사용 능력은 크게 향상되었다. 2000년 53%였던 보통화 사용 가능 인구 비율은[53] 2020년 기준 80.72%까지 증가했다.[55][56]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이 비율을 85%, 2035년까지는 전 국민이 보통화를 구사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0] 하지만 지역 간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여, 2017년 기준 도시 지역의 보급률은 90%를 넘었지만 농촌 지역은 약 40%에 머물렀으며,[54] 2020년 기준 극빈 지역의 보급률은 61.56%였다.[55][56]
보통화는 중국 내 다양한 방언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공용어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언어적 다양성이 큰 남부 지역에서는 실용적인 이유로 보통화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보통화와 지역 방언의 이중언어 사용 현상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특히 도시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보통화가 지역 방언을 완전히 대체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31] 일부 고령층이나 농촌 지역 주민 중에는 보통화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이해는 가능하다.
정부는 공식적으로 지역 방언을 보통화로 대체할 의도는 없다고 밝히고 있으나,[29] 실제 지방 정부 차원에서는 보통화 사용을 강화하고 지역 방언 및 전통 문자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들을 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제정된 '광둥성 국가 공용어 규정'은 방송에서 보통화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정부 직원에게 보통화 사용 의무를 부과하며,[32] [33] 공공 표지판 등에서 간체자 사용을 강제하고 전통 문자 사용을 제한한다.[32][34][35][36] 이러한 정책은 텔레비전, 라디오, 공익 광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 정책은 문화적 정체성과 모국어 소멸을 우려하는 지역 방언 사용자들의 반발을 사기도 한다. 2010년 여름, 광둥성에서는 지역 방송의 보통화 사용 확대 계획에 반대하는 수천 명의 광둥어 사용 시민들이 거리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37]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보통화를 '국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일상생활과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광둥어가 더 널리 사용된다. 홍콩에서는 영어 또한 중요한 지위를 가지며, 마카오에서는 포르투갈어도 공용어 중 하나이다. 두 지역 모두 보통화 교육을 실시하고는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사용을 강제하지는 않는다.[68][69]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보통화를 '국어'라고 칭하며,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강제적인 보통화 교육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70]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보통화 능력을 평가하는 주요 시험으로는 한어수평고시(HSK, 汉语水平考试)와 보통화수평측시(PSC, 普通话水平测试)가 있다.
2. 3. 중화민국 (국어)
중화민국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국어'''(國語|궈위중국어)라고 부른다.[64]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보통화와 마찬가지로 베이징어를 기초로 하고 있어 서로 거의 동일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일부 어휘나 발음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국어'라는 용어는 원래 청나라 말기에 만주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1655년의 『청태조실록(清太祖實錄)』에는 만주 신하들이 한어를 이해하지 못해 각 관청에 한인 관리를 두어 국어(만주어)를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는 기록이 있다.[13] 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특정 언어 변종을 표준어로 장려하는 의미의 '국어'는 20세기 초 일본에서 사용되던 국어(国語|고쿠고일본어)라는 용어를 차용한 것이다. 1902년 일본 의회는 표준 일본어를 제정하기 위해 국어연구회를 설립했는데, 청나라의 개혁 관료들이 이에 영향을 받아 1909년 청나라 교육부가 공식적으로 관화를 새로운 '국어'로 선포했다.
1912년 건국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국어 운동을 통해 '국어'를 공용어로 정비하고 보급했으며, 1930년대까지 그 기준을 확립했다. 중국 대륙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국어'라는 명칭 대신 '보통화'를 사용하게 되었지만, 중화민국 정부가 통치하게 된 타이완에서는 '국어'라는 명칭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
타이완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광복을 맞아 통치권을 장악한 국민당 정부가 국어 교육을 의무화했다. 특히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공공장소에서 국어 사용을 강제하고 타이완어, 객가어 등 방언의 사용을 억압하는 정책을 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이러한 언어 정책은 변화를 맞이했다. 정부는 타이완어, 객가어, 원주민 언어 등 다양한 지역 언어의 사용을 더 이상 억압하지 않고 오히려 장려하게 되었으며, 공교육 과정에 이들 언어를 배우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타이완의 국어는 지역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어휘나 표현 면에서 대만 국어로 불리는 독자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언어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책이 더욱 강화되어, 2017년과 2018년 타이완 정부는 원주민 포모사어[17][19]와 객가어[18][19]를 표준 중국어와 함께 법적으로 "국가 언어"(國家語言중국어)로 지정했다. 이후 '국어(궈위)'라는 용어가 표준 중국어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타이완의 모든 국가 언어를 포괄하는 의미로 재정의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중화민국 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는 화어문능력시험(Test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OCFL)이 있다.
2. 4. 동남아시아 (화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화어'( 华语 / 華語|화어중국어 )라고 부른다.[64] 이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화교 사회에서 주로 사용되는 명칭이다. 특히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의 국어는 말레이어를 의미하므로, '화어'는 표준 중국어를 특정하여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화교 인구가 많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각각 싱가포르 화어와 말레이시아 화어의 표준을 제정하고 보급하기 위한 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화어는 중국 대륙이나 타이완의 표준 중국어와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유사하지만, 지역적 특성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오랜 기간 동안 민남어, 광둥어, 객가어 등 다양한 중국어 방언과 함께 영어, 말레이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이들 언어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풍부하게 사용된다. 또한, 홍콩의 영향으로 홍콩어와도 유사하다.
3. 역사
중국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방언이 존재했으며, 문어는 비교적 통일되어 있었지만, 구어와 한자 발음은 지역마다 달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동문이음(同文異音)' 상황 속에서 고대부터 공통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57] 공자 시대에는 '야언'(雅言)이라는 공통어가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며, 한나라 시대 문헌에는 '통어'(通語)라는 공통어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남북조 시대 이후 편찬된 운서들은 당시의 표준 발음 체계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표준어는 주로 지식인 계층에서 사용되었고 실제 발음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관리들이 사용하는 공용어로서 '관화(官話)'가 존재했다. 초기에는 난징 방언을 기반으로 했으나, 수도가 베이징으로 옮겨지면서 점차 베이징 방언의 영향력이 커졌다. 17세기에는 발음 통일을 위해 정음서원이 설립되기도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본격적인 공통어 수립 운동은 청나라 말기부터 시작되었다. 일본의 '고쿠고'(國語) 개념을 받아들여 1909년 청나라 교육부는 관화를 '국어(國語)'로 공식 선포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잠시 중단되었던 언어 통일 논의는 중화민국 수립 이후 재개되었다. 1913년 발음 통일 위원회가 소집되어 표준 발음 제정을 논의했고, 초기에는 여러 방언을 절충한 인공적인 발음 체계(구국음)를 만들기도 했으나[58], 결국 1932년에는 베이징 방언 발음을 표준으로 하는 '국어'가 확립되었다. 이 시기 백화문 운동의 발전 역시 표준어 형성에 기여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국어'는 '보통화(普通話)'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55년 전국문자개혁회의를 통해 공식화되었고, 1956년 국무원은 보통화를 "베이징 음운을 표준음으로, 북방 방언을 기초 방언으로, 모범적인 현대 백화문 저작을 어법 규범으로 삼는" 언어로 정의하며 전국적인 보급 정책을 시작했다.[65][66][25] 이와 함께 간체자가 공표되어 교육기관과 군대 등에서 사용되었다. 문화대혁명 시기 보급이 잠시 주춤했으나,[59] 이후 다시 적극 추진되어 1982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9조에 보통화 보급이 명시되었다.[59] 보통화 정책은 특히 남방 방언 지역과 소수민족 지역에서 중점적으로 추진되었으며, 대중매체의 발달과 함께 보급률이 점차 높아져 2020년에는 중국 인구의 80% 이상이 보통화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27]
3. 1. 후기 제국 시대

'''관화'''(중국어 정체: 官話, 간체: 官话)는 명나라(1368~1644)와 청나라(1644~1912) 시대에 황실에서 사용된 공용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오늘날 서양에서 표준 중국어를 가리키는 "만다린(Mandarin)"이라는 용어는 포르투갈어 mandarimpt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다시 산스크리트어 mantrin|만트린sa('장관')에서 온 말로, 처음에는 중국의 사대부 관료를 지칭했다. 이후 포르투갈인들은 이 관료들이 사용하는 언어, 즉 관화를 "만다린들의 언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16세기 예수회 선교사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당시 중국의 언어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중국에는 여러 지방에 서로 다른 언어가 있어 서로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들은] 또한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언어와 같은 또 다른 언어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만다린(관료)과 궁중의 공식 언어이며, 그들 사이에서는 우리 사이의 라틴어와 같다.... 우리의 두 선교사미켈레 루지에리와 마테오 리치는 이 만다린어를 배우고 있다...[23]
17세기 청나라 조정은 관료들의 언어를 표준 발음에 맞추기 위해 정음서원(중국어 정체: 正音書院, 병음: zhèngyīn shūyuàn)이라는 발음법 학원을 설립했으나, 이러한 시도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세기 후반까지도 황제는 표준 발음을 따르지 않는 일부 신하들의 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해진다.
19세기 이전까지 공용어는 주로 난징 방언에 기반을 두었다. 하지만 수도가 베이징으로 옮겨지고 다양한 지역 출신의 관리와 백성들이 모여 살게 되면서, 점차 베이징 방언의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00년경까지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난징 방언의 지위가 베이징 방언보다 높다고 여겼으며, 1906년에 제정된 우편 로마자 표기법 표준에는 난징 발음의 요소가 일부 반영되기도 했다.[24]
청나라 말기,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보급할 표준 언어를 지칭하는 '''국어'''(중국어 정체: 國語, 간체: 国语)라는 용어가 등장했는데, 이는 일본에서 사용되던 国語|고쿠고일본어라는 용어를 차용한 것이다. 1902년 일본 의회가 일본어 표준화 기구인 국어 연구 위원회를 설립한 것에 영향을 받아, 청나라의 개혁 관료들도 이 용어를 받아들였다. 1909년 청나라 교육부는 공식적으로 황실 관화를 '''국어'''로 선포했다.
3. 2. 중화민국 시대
중화민국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국어(國語)'라고 부른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보통화와 마찬가지로 베이징 방언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일부 어휘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1912년 중화민국이 수립된 이후, 국가 차원에서 공통의 국어를 보급하려는 노력이 본격화되었다. 이전 청나라 말기부터 언어 통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신해혁명으로 중단되었던 논의를 이어받아, 전국 각지 대표들이 참여하는 발음 통일 위원회가 소집되었다.[57][58][59] 이 위원회는 표준 발음을 정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1919년에는 위원회의 결과물로 ''國音字典|국음자전중국어''이 출판되었다. 이 사전은 특정 지역 방언에 기반하지 않고 여러 방언의 발음을 절충하여 만든 인공적인 발음 체계를 제시했다. 하지만 실제 언어 현실과 동떨어져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백화문 운동은 꾸준히 발전하며 현대 중국어 문체의 기초를 다져나갔다.
표준 발음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면서, 점차 베이징 방언이 가진 정치·문화적 영향력에 힘입어 표준 발음의 기반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결국 1932년, 국어 위원회는 별도의 공표 없이 ''國音常用字彙|국음상용자휘중국어''를 발간했다. 이 사전은 이전 '국음자전'과 달리 모든 한자의 표준 발음을 당시 베이징의 발음에 기초하여 통일했다. 이로써 베이징 방언이 중화민국 국어 표준 발음의 핵심적인 기반으로 확립되었으며, 다른 방언의 요소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표준어에서 배제되었다. 이 결정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보통화 제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3. 3.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전국문자개혁회의에서는 이전까지 '국어'로 불리던 베이징 기반의 중국어를 '보통화'(普通話)로 명칭을 변경했다.[65][66] 이는 '나라의 보편적인 의사소통, 보편적인 통용'이라는 의미를 담아 중국 전역에서 사용할 공용어를 규정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이후 1956년 2월 6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보통화 보급에 관한 지시'(推广普通话중국어)를 반포하며, 보통화를 "베이징 음운을 표준음으로 삼고, 북방 방언을 기초 방언으로 하며, 모범적인 현대 백화문 저작을 어법 규범으로 삼는"(以北京语音为标准音,以北方话为基础方言,以典范的现代白话文著作为语法规范중국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 형태로 공식 정의했다.[65][66][25]초기에는 새로운 표준어인 보통화에 대한 숙련도가 베이징어 화자들 사이에서도 제한적이었으나, 이후 수십 년간 교육 및 미디어를 통해 보급이 확대되었다.[27] 1958년 저우언라이는 《당면 문자 개혁의 임무》(當前文字改革的任務)라는 연설에서 "6억 한족 인민들의 방언을 점진적으로 통일하는 작업은 어려움이 큰 임무이며, 이를 위해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보통화 보급의 어려움과 중요성을 강조했다.[67] 중국 정부는 각급 학교에서 방언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으며, 특히 방언 사용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도 교사와 학생이 학교 내에서 방언을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도록 했다. 이러한 노력은 1982년 11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9조에 보통화 보급이 공식적으로 규정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59]
보통화 정책은 특히 보통화와의 차이가 큰 남방 방언 지역(예: 민남어 사용 지역인 푸젠성, 광둥어 사용 지역인 광둥성)이나 소수 민족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60][61] 텔레비전 등 대중매체에서 주로 보통화를 사용하는 것도 보급에 큰 영향을 미쳤다.[62][63]
지역 | 1950년대 초 (이해) | 1984년 | |
---|---|---|---|
이해 | 구사 | ||
북경어 사용 지역 | 54% | 91% | 54% |
비북경어 사용 지역 | 11% | 77% | 40% |
전국 평균 | 41% | 90% | 50% |
중국 교육부가 실시한 2007년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3.06%가 보통화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했으며,[26] 2020년에는 이 비율이 80%를 넘어섰다.[27]
홍콩 및 마카오에서는 중국 대륙의 보통화를 '국어'(國語)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지역들에서는 광둥어가 일상 통용어로 널리 사용되며, 정부 업무에는 영어(홍콩), 포르투갈어(마카오), 광둥어, 그리고 보통화가 함께 사용된다. 정부 차원에서 보통화 사용을 강제하지는 않았으며, 많은 학교에서 광둥어로 수업하면서 보통화를 별도로 교육한다. 마카오에서는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보통화 보급 노력이 있었으나,[68] 여전히 민간 교류에서는 광둥어가 주로 사용된다. 홍콩은 영국 식민 통치의 영향으로 영어와 광둥어가 사회적으로 깊이 뿌리내렸으며, 특히 정부, 법조계, 경제계 등에서는 영어가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중국 대륙과의 교류가 잦은 기업에서는 영어, 광둥어, 보통화 3개 언어를 구사하는 인력이 선호되었다.[69]
신강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보통화를 '국어'(国语)라고 칭하며,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한 보통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강제적인 국어 순화 운동으로 보기도 한다.[70]
중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는 한어수평고시(HSK)와 보통화수평측시(PSC)가 있다.
한편,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 특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지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화어'(華語, Huayu)라고 부른다.[21] 본래 '화어'는 1960년대 중반까지 중화민족이 사용하는 모든 중국어 변종(방언 포함)을 가리켰으나, 점차 표준 중국어를 특정하는 용어로 사용 범위가 변화했다.[20]
4. 현황
표준 중국어는 중국 본토와 대만 등 중화권 지역의 공식적인 자리, 언론, 교육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시아 외의 해외 중국인 사회에서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과거 광둥어가 주로 사용되던 맨해튼 차이나타운에서도 최근 중국 이민자 증가와 함께 표준 중국어 사용이 빠르게 늘고 있다.[28]
4. 1. 중국 본토
1955년 중국의 전국문자개혁회의에서는 이전까지 '국어'로 불리던 베이징어를 '보통화'(普通話)로 명칭을 바꾸었다. 이후 1956년 2월 6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보통화 보급에 관한 지시'(推广普通话중국어)를 발표하며, '베이징어 발음을 표준음으로 삼고, 관화(북방어)를 기초 방언으로 하며, 모범적인 현대 백화문 저작을 어법 규범으로 삼는다'(以北京语音为标准音,以北方话为基础方言,以典范的现代白话文著作为语法规范중국어)는 규정을 공식화했다.[65][66] '보통화'라는 명칭은 '나라 전체에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의사소통 수단'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소수민족에게 특정 민족(한족)의 언어를 강요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도 있었다. 이러한 고려는 일찍이 1931년 공산당 지도자 구추바이에 의해 제기되었으며, 1955년 '보통화' 명칭 채택에 영향을 미쳤다.[15][16] 2000년 이후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 언어 사용 및 보호 조항을 마련하면서 '국가 통용 언어 문자'(国家通用语言文字중국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관련 법률에서 보통화를 '국가 통용 언어'로 정의하고 있다.[14]1958년 저우언라이는 방언 통일 작업이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한 어려운 과제임을 언급하며 보통화 보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7] 중국 정부는 교육 시스템을 통해 보통화 보급에 힘썼으며, 방언 사용 인구가 많은 지역의 학교에서도 학생과 교사가 방언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 또한 텔레비전, 라디오, 공익 광고 등을 통해 보통화 사용을 장려해왔다.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언어 정책은 표준 중국어(보통화) 사용을 장려하면서도 지역 방언의 사용과 보존을 허용하는 것이지만[29], 실제로는 표준 중국어가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강화하면서 다른 방언이나 소수민족 언어의 사용이 위축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도시 지역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지역 방언을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31] 지방 정부 차원에서는 국가 공용어법을 이행하기 위해 지역 방언 사용을 제한하는 규정을 시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12년 제정된 '광둥성 국가 공용어 규정'은 성 내 방송을 원칙적으로 보통화로 진행하도록 요구하며, 정부 직원 및 교사 등의 공적 영역에서의 보통화 사용을 강조한다.[32] [33] 또한 공공 표지판 등에서는 간체자 사용을 기본으로 하며, 특정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체자(번체자)나 변형된 글자 사용을 제한한다.[32][34][35][36]
이러한 표준화 정책은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과 모어(母語) 상실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반발을 낳기도 했다. 2010년 여름, 광둥성에서는 지역 방송의 보통화 사용 확대 계획에 반대하여 수천 명의 광둥어 사용 시민들이 거리 시위를 벌였다.[37] 또한 신강 위구르 자치구 등 일부 소수민족 지역에서는 보통화를 '국어'(国语)라고 칭하며 사실상의 동화 정책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비판이 있으며, 강제적인 언어 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도 있다.[70]
표준 중국어 보급률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53%[53]에서 2020년에는 80.72%에 도달했다.[55][56] 2017년 기준 도시 지역 보급률은 90%를 넘었으나 농촌 지역은 약 40%로 차이를 보였다.[54]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전국민의 85%, 2035년까지는 사실상 모든 국민이 표준 중국어를 구사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0] 일부 고령층이나 농촌 지역 주민 중에는 보통화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이해는 가능하다.
중국 내에서 보통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는 한어수평고시(HSK)와 보통화수평측시(PSC)가 있다.
4. 2. 홍콩과 마카오
홍콩과 마카오는 중화인민공화국(PRC)의 특별행정구로, 주된 구어로는 광둥어(口語|hau2 jyu5yue)를 사용하는 이중언어 사용 현상이 나타난다. 학교, 지방 정부 및 공식 문서에서는 표준 중국어의 지역적 변형( 書面語|syu1 min6 jyu5yue )이 사용된다.[38] 광고, 잡지, 대중문학, 만화와 같은 비공식적인 환경에서는 광둥어 표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식 및 비공식 중국어 표기가 다양한 정도로 혼합되어 사용된다.[39] 영국으로부터의 홍콩 반환과 포르투갈로부터의 마카오 반환 이후, 홍콩과 마카오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와의 소통에 '푸통화'를 사용한다. 특히 홍콩 반환 이후에는 '푸통화'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상당한 노력이 있었는데,[40] 경찰[41]과 교사[42] 교육 등이 이에 포함된다.4. 3. 타이완
중화민국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국어(國語)'라고 부른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보통화와 마찬가지로 북경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일부 어휘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타이완에서 국어 실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는 화어문능력시험이 있다.표준 중국어는 타이완의 공식 언어이다. 1949년 중국 국공내전이 끝나고 중국 국민당(KMT)이 본토에서 타이완으로 이전하면서, 본토 출신 이주민들과 함께 표준 중국어(국어) 사용이 확산되었다. 타이완에서 사용되는 표준 중국어는 중국 본토의 표준 중국어와 큰 차이가 없으나, 1949년 이후 새롭게 등장한 전문 용어 등에서 일부 차이가 나타난다.[43]
1949년 이전 타이완의 한족 인구는 주로 타이완어를 사용했으며, 객가어 사용자도 일부 있었다. 다수의 타이완 원주민은 고유 언어인 포르모사 제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1949년부터 1987년까지 이어진 계엄령 시기 동안, 국민당 정부는 국어 추진 위원회를 통해 표준 중국어 사용을 강력히 추진하며 타이완어나 다른 지역 언어의 사용을 공공장소에서 억제하거나 금지했다. 이 정책으로 표준 중국어가 타이완의 실질적인 공용어로 자리 잡았으나[44], 1990년대에 들어 이러한 언어 정책은 정치적 반발에 부딪혔다.
2000년대 천수이볜 총통 집권 이후, 타이완 정부는 표준 중국어 외에 다른 언어들의 가치를 인정하고 공존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타이완어, 객가어, 타이완 원주민 언어들이 학교 교육 과정에 포함되고 언론에서의 사용도 증가했지만, 표준 중국어는 여전히 타이완의 주요 공용어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44] 천수이볜 총통은 연설에서 종종 타이완어를 사용했으며, 후임 총통인 이덩후이 역시 공개 석상에서 타이완어를 사용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원주민 언어인 포르모사 제어[17][19]와 객가어[18][19]를 표준 중국어와 함께 '국가 언어'()로 공식 인정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후 '국어(國語)'라는 용어를 표준 중국어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 언어를 포괄하는 의미로 재정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2019년 8월 9일 개정된 여권법 시행규칙()에 따라, 타이완 외교부는 기존의 표준 중국어 이름 외에도 호로어, 객가어, 원주민 언어로 된 이름의 로마자 표기를 여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45]
타이완에서 사용되는 표준 중국어는 타이완 고유의 언어 환경 속에서 지역 언어의 영향을 받아 대만 국어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4. 4. 싱가포르
중국어는 영어, 말레이어, 타밀어와 함께 싱가포르의 4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현지에서는 화어(華語)라고 부른다. 이는 말레이시아에서도 마찬가지이다.역사적으로 싱가포르의 중국계 싱가포르인 사회에서는 주로 호키엔, 티우저우, 광둥어, 객가어와 같은 남방 중국어 방언을 사용했기 때문에, 표준 중국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현재 사용되는 싱가포르 표준 중국어는 중국 대륙과 타이완의 표준어와 거의 동일하며, 일부 어휘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 표준 중국어는 싱가포르의 교육, 미디어, 공식적인 환경에서 사용된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화어를 통틀어 신마 화어(新馬華語)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들 화어는 중국 대륙 및 타이완의 표준 중국어와 유사하지만, 민남어, 광둥어, 객가어, 영어, 말레이어의 영향을 받아 외래어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홍콩의 영향으로 홍콩어와 유사한 면도 보인다.
한편, 비공식적인 일상 대화에서는 싱다린(Singdarin영어)이라는 구어체가 사용된다. 싱다린은 광둥어, 호키엔, 말레이어 등 현지 언어의 문법과 어휘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영어, 호키엔어, 광둥어, 말레이어 등을 섞어 사용하는 코드 전환도 흔하게 나타난다.
1970년대 후반부터 싱가포르 정부는 화어 사용 캠페인(Speak Mandarin Campaign영어)을 통해 표준 중국어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해왔다. 이 캠페인의 일환으로 방송 매체에서 다른 중국어 방언의 사용이 금지되었고, 공식적인 맥락에서의 사용도 억제되었다.[46] 싱가포르의 중국계 이민자 대부분이 남방 출신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정책은 일부 구세대 사이에서 반감을 사기도 했다. 캠페인을 주도한 리콴유는 표준 중국어가 대부분의 중국계 싱가포르인에게 진정한 모국어가 아닌 "계모의 언어"와 같다고 인정하면서도, 특정 방언 집단에 치우치지 않는 중국계 사회 통합 언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47]
4. 5.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화어(華語)'라고 부르며, 현지 중국어 학교의 교육 언어로 채택되었다. 1980년대 싱가포르의 표준 중국어 사용 운동과 중국 문화 부흥 운동의 영향을 받아, 말레이시아의 화교 사회에서도 표준 중국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다른 중국어 방언에서 표준 중국어로의 언어 변화가 나타났지만, 싱가포르만큼 급격하지는 않았다.오늘날 표준 중국어는 말레이시아 중국인들 사이에서 공용어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말레이 반도 북부에서는 민남어의 일종인 호키엔어가, 중부 지역에서는 광둥어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화교 인구가 많아, 말레이시아 화어의 표준을 제정하고 보급하기 위한 기구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화어는 중국 대륙이나 대만의 표준 중국어와 기본적으로 유사하지만, 민남어, 광둥어, 객가어 등 다른 중국어 방언과 영어, 말레이어의 영향을 받아 외래어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홍콩 문화의 영향으로 홍콩어와 유사한 면도 나타난다.
5. 교육
중국 본토와 타이완 모두에서 표준 중국어는 초등학교 과정부터 몰입식으로 가르친다.
중국 본토1955년 전국문자개혁회의에서 기존의 '국어'를 '보통화'(普通话|푸퉁화중국어)로 개칭하고,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보통화 보급에 관한 지시'(推广普通话|퉨광푸퉁화중국어)를 통해 '북경어음을 표준음으로, 관화를 기본 방언으로, 현대백화문저작을 어법의 규범으로 삼는다'(以北京语音为标准音,以北方话为基础方言,以典范的现代白话文著作为语法规范중국어)는 규정을 공식화했다.[65][66] 이에 따라 중국 정부 관할 지역의 각급 학교에서는 방언 사용 인구가 많은 지역이라도 학생과 교사가 학교 내에서 방언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
중앙 정부의 언어 정책에 따라 교육과 방송에서 보통화 사용이 강조되면서 보통화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자리 잡았다. 보통화 보급률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53%에서 2015년 약 73%[53], 2020년에는 80.72%에 달했다.[55][56] 다만, 2017년 기준 도시 지역 보급률은 90%를 넘었지만 농촌 지역은 약 40%에 머무르는 등 지역 간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54] 국내 이주가 증가하면서 공식 보통화수평측시(PSC)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많은 고용주들이 직책에 따라 지원자에게 특정 수준의 보통화 능력을 요구하며, 중국 본토의 많은 대학 졸업생들은 취업 전에 PSC 시험을 보는 경우가 많다.
한편, 신강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보통화를 '국어'(国语|궈위중국어)라 칭하며,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한 강제적인 국어 동화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70] 중국 본토의 표준 중국어 실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는 한어수평고시(HSK)와 보통화수평측시(PSC)가 있다.
타이완타이완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국어'(國語|궈위중국어)라고 부른다. 중화민국은 1912년 건국 후 국어 운동을 통해 공용어로서의 국어를 정비했으며, 이는 현재 중국 대륙의 보통화와 거의 동일하여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타이완 역시 초등학교부터 국어를 통한 몰입 교육을 실시한다. 2학년 이후, 1990년대 중반부터 도입된 주당 몇 시간의 지역 언어 수업을 제외하고는 교육 시스템 전체가 표준 중국어로 진행된다. 과거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국민당 정부 시절에는 공공장소에서 국어 사용을 의무화하고 방언 사용을 억압하는 정책이 시행되기도 했으나, 1990년대 이후 이러한 제한은 사라졌다. 현재는 공교육을 통해 타이완어, 객가어, 타이완 원주민 언어 등 지역 언어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타이완의 국어는 지역 언어의 영향을 받아 대만 국어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타이완의 표준 중국어 능력 시험으로는 화어문능력시험(TOCFL)이 있다.
홍콩 및 마카오홍콩과 마카오에서는 중국 대륙의 보통화를 '국어'(國語|궈위중국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일상적인 통용어는 광둥어이다. 정부 차원에서 보통화 사용을 강제하지 않았으며, 많은 학교에서 광둥어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보통화를 별도의 과목으로 가르친다. 마카오에서는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보통화 보급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68], 여전히 민간 교류에서는 광둥어가 주로 사용된다. 홍콩에서는 광둥어와 영어가 사회적으로 강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특정 분야나 기업에서는 영어, 광둥어, 보통화 3개 언어 구사 능력이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한다.[69]
기타 지역미얀마 북부의 일부 반군 장악 지역에서는 표준 중국어가 공용어 역할을 하기도 한다.[48]
6. 음운론
표준 중국어의 발음은 베이징 방언의 발음을 기준으로 정의된다.[43] 음절은 일반적으로 선택적인 첫소리 자음, 선택적인 중간 반모음, 주모음, 그리고 선택적인 종성으로 구성되며, 성조에 의해 의미가 구별된다.[43]
colspan="2" | | 순음 | 치음 | 치경 설측음 / 권설 접근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m (m) | n (n) | |||||
파열음 및 파찰음 | 무기음 | p (b) | t (d) | t͡s (z) | ʈ͡ʂ (zh) | t͡ɕ (j) | k (g) |
유기음 | pʰ (p) | tʰ (t) | t͡sʰ (c) | ʈ͡ʂʰ (ch) | t͡ɕʰ (q) | kʰ (k) | |
마찰음 | f (f) | s (s) | ʂ (sh) | ɕ (x) | x (h) | ||
접근음 | w (w) | l (l) | ɻ~ʐ (r) | j (y) |
치경구개음 첫소리 [t͡ɕ], [t͡ɕʰ], [ɕ]는 높은 전설 모음(/i/, /y/) 앞에서만 나타나며, 치경 파찰/마찰음([t͡s], [t͡sʰ], [s]), 권설음([ʈ͡ʂ], [ʈ͡ʂʰ], [ʂ]), 연구개음([k], [kʰ], [x])과는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이 세 자음군은 해당 모음 앞에는 오지 않는다. 이는 음소 분석에서 고전적인 문제를 제기한다.[43]
종성 [ɹ̩]은 치경 파찰/마찰음 및 권설음 첫소리 뒤에만 나타나는 음절성 마찰음이다.[43][44] 권설화 모음 [ɚ]은 완전한 음절을 형성한다.[43] 이 음절의 축약된 형태는 병음에서 '-r'로 표기되는 접미사로 나타나며, 종종 애칭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 접미사는 '얼화'(儿化)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앞 음절의 종성을 변화시킨다.[43]
각 완전 음절은 음소적으로 구별되는 음높이 윤곽, 즉 성조(聲調)로 발음된다. 병음에서는 악센트 부호로 표시되는 네 가지 기본 성조가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45]
- 1성(고평조, 高平調): mā|마중국어 (媽|마중국어, '어머니') - 높고 평탄한 소리
- 2성(상승조, 上聲調): má|마중국어 (麻|마중국어, '삼') - 중간 높이에서 높은 높이로 올라가는 소리
- 3성(저요조, 低凹調): mǎ|마중국어 (馬|마중국어, '말') - 낮은 높이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는 소리
- 4성(하강조, 下降調): mà|마중국어 (罵|마중국어, '욕하다') - 높은 높이에서 낮은 높이로 떨어지는 소리
성조는 음높이 외에도 부가적인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3성은 길고 유성음화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4성은 비교적 짧다.[43][45] 통계적으로 모음과 성조는 언어에서 비슷한 중요성을 지닌다.[49]
네 가지 기본 성조 외에도 약하게 발음되는 경성(輕聲)이 있다. 의문 조사 ma|마중국어 (嗎|마중국어)와 같은 일부 문법적 기능어나 특정 단어의 두 번째 음절 등에서 나타난다. 경성은 짧고, 그 음높이는 앞 음절의 성조에 따라 결정된다.[43] 일반적으로 중성조로 설명된다.
6. 1. 지역별 발음 차이
표준 중국어는 화자의 나이, 교육 수준, 공식적인 상황에서의 사용 빈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지역 방언의 영향을 받아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표준 중국어의 발음은 베이징 방언에 기초하지만[43], 진화와 표준화 과정을 거치면서 더 이상 베이징 방언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표준어는 더 넓은 어휘 체계를 가지며, 보다 고풍스럽고 규범적인 발음과 어휘를 지향한다. 베이징 방언의 특징적인 발음 중 하나는 얼화(erhua, 儿化)를 표준어 설명보다 더 자주 사용하고, 성조에서 중성(경성)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43]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에서 '문'을 뜻하는 단어는 mén|먼중국어이지만, 베이징 방언에서는 ménr|먼얼중국어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타이완에서 사용되는 표준 중국어(타이완에서는 국어(國語)라고 부름)는 중국 대륙의 표준 중국어와 거의 동일하지만, 구어체에서는 타이완어(대만 호키엔어) 등 다른 지역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주요 차이점으로는 다음이 있다.[43]
- 권설음(병음: zh, ch, sh, r)과 설치음(병음: z, c, s)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후자처럼 발음하는 경향.
- 단어의 원래 성조를 유지하고 중성(경성)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적음.
- 얼화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
타이완에서는 많은 인구가 여전히 타이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기 때문에, 표준 중국어와 타이완어를 섞어 쓰는 코드 스위칭 현상이 흔하게 나타난다.[50]
중국 남부 지역 화자들의 표준 중국어 발음 역시 지역 방언의 영향을 받는다.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43]
- 권설음(병음: zh, ch, sh)을 설치음(병음: z, c, s)처럼 발음하여 구분하지 않는 경향.
- 'l'과 'n' 발음을 혼동하거나 구분하지 않음.
- 단어 끝의 비음 'n'과 'ng'를 구분하지 않음.
- 모음 'i'와 'ü'([y])를 서로 바꿔 사용하기도 함.
광둥어 사용 지역을 포함한 남부 지역의 이러한 발음 특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경멸적인 시각부터 긍정적인 평가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51]
7. 문법
중국어는 거의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며, 문장의 각 부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어순과 조사에 의존한다. 명사는 격이나 수가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 동사는 주어와의 일치나 시제가 표시되지 않지만, 상(aspect)은 동사 뒤에 오는 조사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기본 어순은 영어와 같이 주어-동사-목적어(SVO)이다. 명사는 일반적으로 수식어(형용사, 소유격, 관계절)가 앞에 오고, 동사는 일반적으로 수식어(부사, 조동사, 전치사구)가 뒤에 온다.
: 他 为/為 他的 朋友 做了 这个/這個 工作。|Tā wèi tā-de péngyǒu zuò-le zhè-ge gōngzuò.중국어 (그는 그의 친구를 위해 그 일을 했다.)
술어는 자동사, 목적어가 뒤따르는 타동사, 연결 동사인 是|shì중국어 뒤에 명사구가 오는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술어로 사용될 때, 중국어 형용사는 상태 동사처럼 기능하여, 연결 동사 없이 독립적으로 완전한 술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 我 不 累。|Wǒ bú lèi.중국어 (나는 피곤하지 않다.)
중국어는 또한 영어와 달리, 주제를 제시하고 그 뒤에 주석을 덧붙이는 방식(주제-평언 구조)으로 또 다른 종류의 문장을 만든다.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as for"를 앞에 붙여 문장의 주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 妈妈/媽媽 给/給 我们/我們 的 钱/錢, 我 已经/已經 买了/買了 糖果。|Māma gěi wǒmen de qián, wǒ yǐjīng mǎi-le tángguǒ(r)중국어 (엄마가 우리에게 준 돈으로, 나는 이미 사탕을 샀다.)
어떤 일이 일어난 시점은 '어제'와 같은 명시적인 용어나 '이전에'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로 나타낼 수 있다.
많은 동아시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수사, 지시어 및 유사한 양화사를 사용할 때는 양사 또는 측정사가 필요하다. 언어에는 많은 다양한 양사가 있으며, 각 명사에는 일반적으로 특정 양사가 연결되어 있다.
: 一顶 帽子|yī-dǐng màozi중국어 (모자 하나), 三本 书/書|sān-běn shū중국어 (책 세 권), 那支 笔/筆|nèi-zhī bǐ중국어 (저 펜)
일반적인 양사인 /가 특정 양사를 점차 대체하고 있다.
파생어 형성에서, 이 언어는 합성어와 중복을 허용한다.
8. 어휘
중국 제국 시대에 사용되던 많은 존칭들이 현대 표준 중국어 일상 대화에서도 여전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신을 낮추는 표현인 賤/贱|jiàn중국어('(나의) 겸손한')과 상대방을 높이는 표현인 貴/贵|guì중국어('(당신의) 존경하는') 등이 있다.
중국어 사용자들은 표준 중국어와 베이징 방언을 명확하게 구분하지만, 베이징 방언의 일부 어휘는 표준 중국어에 포함되었다.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방언에서 유래한 경어와 비격식적인 어조를 구분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일상 대화에서의 사용은 상당히 줄어들었다. 또한, 표준 중국어는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우리'인 咱們/咱们|zánmen중국어과 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우리'인 我們/我们|wǒmen중국어을 구분한다. 하지만 실제로 베이징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국 지역에서는 이러한 구분을 흔히 사용하지 않는다.
베이징 방언 어휘 중 일부는 표준 중국어에 포함되었지만, 일부는 여전히 표준어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방언 어휘 (병음) | 의미 | 표준어 포함 여부 |
---|---|---|
倍儿|bèir중국어 | 매우 | 미포함 |
拌蒜|bànsuàn중국어 | 비틀거리다 | 미포함 |
不吝|bù lìn중국어 | 걱정하지 마라 | 미포함 |
撮|cuō중국어 | 먹다 | 미포함 |
出溜|chūliū중국어 | 미끄러지다 | 미포함 |
(大)老爷儿们儿|dà lǎoyermenr중국어 | 남자, 사내 | 미포함 |
二把刀|èr bǎ dāo중국어 | (솜씨가) 서투르다, 어설프다 | 포함 |
哥们儿|gēménr중국어 | (친한) 친구 (주로 남성 간) | 포함 |
抠门儿|kōu ménr중국어 | 인색하다, 쩨쩨하다 | 포함 |
9. 문자 체계
표준 중국어는 언어의 음절에 해당하는 한자로 표기하며, 대부분의 한자는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인 형태소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한자는 후기 고대 중국어 시기 동족 형태소를 표기하던 고전 중국어의 한자에서 유래했지만, 그 발음과 의미는 2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크게 변해왔다.
하지만 고전 시기에는 쓰이지 않았거나 어원이 불분명한 단어들도 많으며, 이 중 상당수는 현대 중국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단어를 표기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 첫째, 원래의 의미가 잘 쓰이지 않게 된 한자 중에서, 표기하려는 단어와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한자를 빌려 쓰는 방법(차용)이다. 예를 들어, '이것'을 의미하는 `zhè`와 '저것'을 의미하는 `nà`는 지시대명사인데, 고전 중국어에는 이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었고 대신 此(`cǐ`)와 彼(`bǐ`)를 사용했다. 그래서 원래 '만나다'라는 뜻이었던 這(나중에 简화되어 这)를 발음이 같은 '이것'(zhè)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원래 나라 이름이나 성씨로 쓰였던 那(`nà`)는 발음이 같은 '저것'(nà)을 표기하는 데 빌려 쓰게 되었다.
- 둘째,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주로 뜻 부분과 소리 부분을 결합한 형성자(形聲字)나 뜻 부분이 결합된 회의자(會意字)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추격하다', '따라잡다'는 뜻의 `gǎn`은 '달리다'는 뜻의 走(`zǒu`)와 소리 부분인 旱(`hàn`)을 합쳐 새로운 글자 趕을 만들어 표기했다. 이러한 방식은 주기율표의 원소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중국 대륙에서는 1950년대 이후 간체자를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한자가 간략화되었는데, 예를 들어 '여기'를 뜻하는 `zhèlǐ`는 這裏 또는 這裡에서 这里로, '저기'를 뜻하는 `nàlǐ`는 那裏 또는 那裡에서 那里로 바뀌었다. 반면, 대만, 홍콩, 마카오 등에서는 전통적인 번체자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자는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오른쪽 줄에서 왼쪽 줄로 읽는 세로쓰기가 일반적이었으나, 현대에는 서양의 영향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가로쓰기가 보편화되었다.
참조
[1]
뉴스
Over 80 percent of Chinese population speak Mandarin
http://en.people.cn/[...]
2021-12-22
[2]
서적
Multilingual China: National, Minority and Foreig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1-29
[3]
웹사이트
https://law.moj.gov.[...]
2019-05-22
[4]
서적
Sign Languages of the World: A Comparative Handbook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0-02-26
[5]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pringer
2004
[6]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second workshop "Chinese Accents and Accented Chinese" (2nd CAAC) 2016, at the Nordic Center, Fudan University, Shanghai, 26-27 October 2015
http://chineseaccent[...]
2016
[7]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Routledge
2020-11-05
[8]
서적
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lackwell Publishing, U.K.
2020-11-05
[9]
논문
Becoming Taiwanese: Negotiating Language, Culture and Identity
https://ruor.uottawa[...]
University of Ottawa
2013
[10]
학술지
What is Mandarin? The social project of language standardization in early Republican China
[11]
간행물
The Four Languages of "Mandarin"
http://sino-platonic[...]
1987
[12]
웹사이트
Mandarin
https://web.archive.[...]
[13]
서적
清文化与满族精神
http://www.xjass.cn/[...]
辽宁民族出版社
2012
[14]
웹사이트
进一步贯彻实施国家通用语言文字法铸牢中华民族共同体意识
http://npc.people.co[...]
2024-11-09
[15]
학술지
Tribune of Social Sciences
[16]
웹사이트
国语、普通话、华语
http://www.china-lan[...]
National Language Committe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8
[17]
웹사이트
原住民族語言發展法
https://law.moj.gov.[...]
Laws & Regulations Database of The Republic of China, the Ministry of Justice
2020-11-05
[18]
웹사이트
客家基本法
https://law.moj.gov.[...]
Laws & Regulations Database of The Republic of China, the Ministry of Justice
2020-11-05
[19]
학술지
https://ws.exam.gov.[...]
[20]
서적
Lianjing chuban
[21]
서적
The Chinese Language: Its History and Current Usage
Tuttle Publishing
[22]
서적
Linguæ Sinarum Mandarinicæ Hieroglyphicæ Grammatica Duplex
https://archive.org/[...]
Hippolyte-Louis Guérin
[23]
인용
[24]
서적
Comprehensive geography of the Chinese empire and dependencies
http://archive.org/d[...]
Tusewei Press
2024-03-06
[25]
법률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Standard Spoken and Written Chinese Language (Order of the President No.37)
http://www.gov.cn/en[...]
Gov.cn
2010-04-27
[26]
뉴스
More than half of Chinese can speak Mandarin
http://www.china.org[...]
Xinhua
2017-11-10
[27]
뉴스
Over 80 percent of Chinese population speak Mandarin
http://en.people.cn/[...]
2021-12-22
[28]
뉴스
In Chinatown, Sound of the Future Is Mandarin
https://www.nytimes.[...]
2011-07-18
[29]
학술지
Language management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ww.linguist[...]
2023-05-13
[30]
뉴스
China says 85% of citizens will use Mandarin by 2025
https://abcnews.go.c[...]
2021-12-22
[31]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2020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ties Education and Social Sciences (ICHESS 2020)
Atlantis Press
2023-05-13
[32]
뉴스
http://news.ifeng.co[...]
2012-01-06
[33]
웹사이트
http://www.worldjour[...]
2012-01-06
[34]
뉴스
http://orientaldaily[...]
2012-01-06
[35]
뉴스
http://club.dayoo.co[...]
2012-01-06
[36]
뉴스
Guangdong's Strict New Media Laws Oppresses Cantonese
http://hk.news.yahoo[...]
Sing Tao Daily
2012-01-06
[37]
뉴스
One-third of Chinese do not speak Putonghua, says Education Ministry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09-18
[38]
서적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Cantonese as a Second Language
Routledge
2023
[39]
논문
Hong Kong written Chinese: Language change induced by language contact
http://www.jbe-platf[...]
2023-06-28
[40]
뉴스
Putonghua promotion stepped up
https://web.archive.[...]
Hong Kong Government
2011-02-12
[41]
웹사이트
Online training to boost Chinese skills
http://www.police.go[...]
Hong Kong Police Department
2011-02-12
[42]
웹사이트
Panel on Education working reports
http://www.legco.gov[...]
Hong Kong Government
2011-02-12
[43]
논문
Analysis of Computer Terminology Translation Differences between Taiwan and Mainland China
2014-09
[44]
논문
Taiwan language-in-education policy: social, cultur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https://journals.uai[...]
2023-05-13
[45]
뉴스
NTU professors' language rule draws groups' ire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9-08-17
[46]
뉴스
New Hokkien drama aimed at seniors to be launched on Sep 9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 Asia
2016-09-01
[47]
서적
From Third World to First: The Singapore Story: 1965-2000
Harper Collins
2000-10-03
[48]
뉴스
In Myanmar's Remote Mongla Region, Mandarin Supplants The Burmese Language
https://www.rfa.org/[...]
Radio Free Asia
2020-05-31
[49]
논문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Prosody 2004
SProSIG
2004
[50]
논문
Code-switching and Identity Constructions in Taiwan TV Commercials
https://web.archive.[...]
2020-05-24
[51]
서적
China Off Center: Mapping the Margins of the Middle Kingdom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52]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Chinese, Mandarin (Simplified)
https://web.archive.[...]
unicode.org
2022-01-11
[52]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Chinese, Mandarin (Simplified)
https://web.archive.[...]
unicode.org
2022-01-11
[52]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2-01-11
[53]
뉴스
中国、29種類の文字 普通話の普及率が73%に
http://j.people.com.[...]
人民網日本語版
2018-07-17
[54]
웹사이트
教育部、国家语委:2020年全国普通话普及率平均达到80%以上
https://www.guancha.[...]
[55]
웹사이트
全国普通话普及率达80.72%
http://www.moe.gov.c[...]
中華人民共和国教育部
2021-03-28
[56]
뉴스
標準中国語、普及率約8割に 極度貧困地域では約6割
https://www.afpbb.co[...]
AFP
2021-03-28
[57]
서적
中国の地域社会と標準語 南中国を中心に
三元社
2005-02-23
[58]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59]
서적
中国の地域社会と標準語 南中国を中心に
三元社
2005-02-23
[60]
서적
近現代中国における言語政策 文字改革を中心に
三元社
2003-02-28
[61]
서적
中国の地域社会と標準語 南中国を中心に
三元社
2005-02-23
[62]
서적
中国の地域社会と標準語 南中国を中心に
三元社
2005-02-23
[63]
서적
中国の地域社会と標準語 南中国を中心に
三元社
2005-02-23
[64]
서적
The Chinese Language: Its History and Current Usage
https://archive.org/[...]
Tuttle Publishing
2006
[65]
웹인용
话说推普 话题五 国语、普通话、华语
https://web.archive.[...]
中國語言文字網
2009-06-27
[66]
웹인용
国务院关于推广普通话的指示(1956年2月6日)
http://www.gov.cn/te[...]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
2009-06-27
[67]
기타
[68]
웹인용
語言推廣中心
http://www.dsej.gov.[...]
澳門教育暨青年局
2017-11-28
[69]
웹인용
香港概況
http://www.gov.hk/tc[...]
香港政府
[70]
웹사이트
学国语促交流共发展
http://www.xjzj.gov.[...]
新疆自治区质监局
2017-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